며칠 전에 대구에서 규모 5.4의 강진이 발생해서 많은 피해가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수능시험 날짜도 1주일이 연기되는 등 유래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는데요, 작년 경주지진에 이어 포항에도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제는 지진 안전지대라고 얘기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정부에서도 이런 지진에 대비해서 각종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이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서비스입니다. 오늘은 우리집이 제대로 내진설계가 되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서비스
내진설계 간편조회는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아우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일반 시민들이 주택에 대한 내진설계 적용 여부를 판단하여, 향후 발생가능한 지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단,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건축물대장의 주용도 중 단독주택과 공동주택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네요.
· 내진설계 간편조회 대상
- 공동주택 :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 단독주택 :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또한 1988년 이전에 건축된 건물과 3층 미만의 건물은 내진설계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이들 또한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밖에 확인이 가능한 주택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내진설계 간편조회시 확인가능한 정보
- 해당 주택의 내진설계 의무적용 대상 여부
- 건축물 대장 정보(건축 허가일, 층수, 높이, 연면적 등)
- 법령 개정 시기별 내진설계 기준
- 지진구역 내 건축기준
내진설계 간편조회 확인방법
먼저 내진설계 간편조회 사이트에 들어가야 합니다. 별다른 회원가입 절차 없이 간단한 동의절차만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하여 내진설계 조회 홈페이지에 들어갑니다.
관련 링크 :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서비스
▲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위와 같은 동의절차 화면이 나옵니다. [이용절차에 관한 동의] 및 [운용 내용에 관한 동의] 2가지 항목에 체크한 후 확인 버튼을 눌러봅니다.
▲ 동의 절차를 마친 메인화면은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등을 확인하기 위한 주소입력창이 생성됩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주소를 검색 해 주세요.] 라고 쓰여있는 부분을 클릭합니다.
▲ 위와 같이 도로명주소 또는 지번주소를 검색할 수 있는 팝업창이 뜨네요. 여러분의 집 주소를 입력해보세요. 저는 '분당 주공'을 검색해보았습니다.
▲ '분당 주공'을 검색하면 화면 하단에 검색결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검색 결과 중 여러분이 조회하고 싶은 주소를 클릭해봅니다.
▲ 상세주소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동일 주소의 아파트도 동별로 내진설계를 확인할 수 있네요. 여러분이 거주하고 있는 동을 선택합니다.
▲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결과입니다. 가장 크게 내진설계 의무적용 건축물이 눈에 띄네요. 상세하게 볼 수 있는 정보로는, 건축물 대장 정보, 법령 개정 시점별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 기준, 지진구역 내 건축 기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중 우리가 알아야할 내용은 우리집이 내진설계 의무적용 대상인지의 여부입니다. 빨간색 동그라미가 표시되어 있으면 우리집은 내진설계가 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마치며
오늘은 우리집 내진설계 간편조회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지진으로 인해 밤잠 못 주무시는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우리집이 내진설계 적용 대상인지 확인해보시고 그에 따른 대책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