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살 돋는 이유, 다 이유가 있다!


제가 어젯밤 겪은 일입니다. 평소 공포영화를 별로 즐겨보지도 않는 제가 어제는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저도모르게 여름특집 공포웹툰을 보게 되었는데요..


밤늦게 무심코 공포웹툰을 보다가 무서운장면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갑자기 몸이 으슬으슬하면서 닭살이 돋더라구요.


가끔 이럴때면 뒤에 귀신이 있나 겁이나서 훽 하고 뒤를 돌아보기도 하는데요, 웹툰을 다 보고나니 갑자기 궁금증이 생기더라구요.


근데 왜 무서운걸 보거나 소름끼치는 일이 생기면 닭살이 돋는걸까?


호기심 많은 제가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닭살 돋는 이유, 다 이유가 있다!




닭살돋는 이유 포스팅 썸네일


닭살이 돋는 메커니즘

겨울한파



우리 몸은 수많은 자율신경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학창시절에 익히 배워왔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바로 이 자율신경계를 구성하고 있죠. 그리고 뇌에서는 몸의 변화를 감지해서 자율신경계에게 명령을 내립니다. 우리가 의식하지도 못하는 사이에 말이죠.


닭살이 돋는것도 자율신경계가 스스로 하는 조치입니다. 우리도 모르게 스스로 말이죠.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반대로 작용하여 우리몸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단적인 예로, 우리가 추위를 느끼게 되면 교감신경이 작용하고 더위를 느끼게 되면 부교감신경이 작용하게 됩니다.


추위를 느끼게 되면 교감신경은 체온이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조치를 취합니다. 이러한 조치의 일환으로 혈관과 모공을 수축시키게 됩니다. 피부 전체가 수축하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온도는 내려가고 체온을 유지시키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피부속 오돌토돌한 부분이 부각되는데, 이것이 바로 닭살인 것이죠.


또한, 교감신경은 피부의 입모근(털을 세우는 근육)도 수축하게 됩니다. 피부의 털이 세워지게 되면 바깥 공기와 피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면서 체온을 덜 빼앗기게 됩니다. 소름돋는 느낌을 받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죠.




공포영화를 보면 소름돋는 이유?


공포



공포영화를 보면 몸이 오싹해진다는 이야기가 있죠? 이때문인지 더운 여름날에는 항상 공포영화가 개봉하고, 예능에서도 납량특집 시리즈를 많이 방영하곤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사람이 공포를 느끼면 더위가 가실까요?


정답은 Yes 입니다. 이 역시 닭살이 돋는 것과 유사한 이유때문인데요.


우리 몸의 교감신경은 추위를 느낄 때 뿐만 아니라 공포를 느낄 때에도 작용하게 됩니다. 교감신경이 작용해서 혈관이 수축되고, 이로 인해 피부 혈관으로 혈액공급이 줄어들어 피부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추위를 느끼게 되는 것이죠. 마찬가지로 입모근이 수축하게 되어 닭살이 돋고 소름돋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소변을 보고나서 몸을 떨었떤 경험 있으시죠? 이또한 자율신경의 작용으로 생기는 일입니다. 따뜻한 소변이 몸속에서 사라지면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근육을 부르르 떨어서 열을 보충한다고 하네요.




마치며


오늘은 왜 닭살이 돋는지 간단히 살펴보았는데요, 다 외부로부터의 갑작스런 변화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려는 메커니즘이었네요. 역시 다 이유가 있었네요 ^^ 우리몸은 알면 알수록 참 신기한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